Football Insight
2025 동아시안컵: 홍명보호의 첫 승, 중국 상대로 3-0 완승(25.07.09) 본문
2025 동아시안컵: 홍명보호의 첫 승, 중국 상대로 3-0 완승
2025년 7월 7일, 용인 미르스타디움에서 펼쳐진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풋볼 챔피언십(동아시안컵) 개막전에서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남자 축구 대표팀이 중국을 상대로 3-0 완승을 거뒀습니다. 이동경(김천 상무), 주민규(대전하나시티즌), 김주성(FC서울)의 연속 골로 경기를 지배한 한국은 산뜻한 출발로 대회 우승을 향한 첫걸음을 내디뎠습니다. 이번 경기는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을 대비한 중요한 테스트 무대였지만, 중국의 약한 전력 탓에 실험의 의미를 깊게 부여하기는 어려웠습니다.
한국의 압도적 승리
한국은 이날 이동경, 주민규, 김주성의 골로 중국을 완파하며 대회 첫 승을 기록했습니다. 2019년 부산 대회 이후 6년 만에 동아시안컵 우승을 노리는 한국은 이 경기에서 안정적인 경기 운영과 조직력을 보여줬습니다. 특히 중국전 6연승을 이어가며 역대 전적 24승 13무 2패를 기록, 중국을 상대로 강력한 우위를 재확인했습니다.
경기 초반 중국은 잠깐 볼 점유율을 높이며 공세를 펼쳤으나, 한국의 단단한 수비와 날카로운 공격 전개 앞에 곧 흐름을 내줬습니다. 한국은 K리그와 J리그 선수들로 구성된 스쿼드를 바탕으로 유기적인 플레이를 펼쳤고, 중국은 이를 전혀 제어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최전방의 주민규는 강력한 피지컬로 중국 수비를 압도했고, 이동경과 김진규(전북 현대)의 미드필더 연계는 중국 중원을 무력화했습니다. 수비에서는 박진섭(전북), 김주성(FC서울), 박승욱(포항 스틸러스)으로 구성된 백스리 라인이 중국의 공격을 완벽히 차단하며 '만리장성' 같은 존재감을 뽐냈습니다.
홍명보호의 실험: 백스리와 K리그 중심 스쿼드
이번 동아시안컵은 FIFA A매치 기간이 아니어서 선수 차출 의무가 없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 대표팀의 주축인 유럽파 선수들(예: 손흥민, 이강인 등)이 빠졌고, K리그 소속 23명과 J리그 소속 3명으로 팀이 꾸려졌습니다. 이는 홍명보 감독에게 새로운 전술과 선수들을 테스트할 절호의 기회였습니다. 홍 감독은 경기 전 “선수들은 테스트라는 명목 아래 전쟁에 들어섰다”고 밝히며 이번 대회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한국은 이번 경기에서 백스리 수비 라인을 다시 한번 가동했습니다. 백스리는 홍명보호가 2026 북중미 월드컵을 대비해 꾸준히 실험 중인 전술로, 수비의 안정성과 공격 전환의 유연성을 동시에 추구합니다. 이번 경기에서는 박진섭, 김주성, 박승욱이 백스리를 구성하며 중국의 공격을 완벽히 차단했습니다. 다만, 중국의 공격력이 예상보다 약했던 탓에 백스리 시스템의 진정한 시험대는 다음 경기에서 확인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이번 경기는 K리그 선수들에게 홍명보 감독의 눈도장을 받을 기회였습니다. 특히 미드필더 김봉수(대전하나시티즌)는 이번 경기에서 A매치 데뷔전을 치르며 가능성을 보여줬습니다. 이동경과 주민규는 각각 골을 기록하며 K리그의 저력을 입증했고, 김진규와 박진섭은 안정적인 경기 운영으로 팀의 중심을 잡았습니다. 이러한 활약은 K리그 선수들이 유럽파 없이도 대표팀에서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줬습니다.
중국의 세대교체: 어린 선수들의 A매치 데뷔
반면, 중국은 이번 대회를 세대교체의 장으로 삼았습니다. 2026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지역 3차 예선에서 탈락하며 월드컵 본선 준비의 동기를 잃은 중국은 기존 감독 브랑코 이반코비치를 경질하고, 데얀 주르예비치 U-20 대표팀 감독에게 임시로 지휘봉을 맡겼습니다. 주르예비치 감독은 이번 대회에서 에이스 우레이(상하이 포트) 등 주축 선수들을 제외하고 젊은 선수들을 대거 발탁했습니다.
중국의 26명 선수 명단 중 절반인 13명이 2000년 이후 출생자였고, 한국전에 선발로 출전한 11명 중 6명이 2000년대생이었습니다. 특히 2008년생 왕 유동(17세), 2006년생 콰이 지원, 2004년생 우미티장 위쑤푸는 이번 경기에서 A매치 데뷔전을 치렀습니다. 이들은 중국 축구의 미래로 주목받는 유망주들이지만, K리그에서 잔뼈가 굵은 한국 선수들의 노련함을 감당하기에는 경험이 부족했습니다.
중국은 경기 초반 잠깐의 볼 점유를 통해 공격을 시도했으나, 한국의 강한 압박과 조직적인 수비에 막혀 흐름을 이어가지 못했습니다. 특히 주민규의 피지컬과 이동경, 김진규의 유기적인 플레이는 중국의 젊은 선수들에게 큰 부담이 됐습니다. 중국은 경기 내내 한국의 속도와 연계를 따라잡지 못했고, 백스리 수비 라인을 뚫을 만한 날카로운 공격을 전혀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한국의 압도적 우세
한국은 이번 경기에서 전반적으로 압도적인 경기력을 보여줬습니다. 전반 초반 중국이 볼 점유를 잠시 주도했으나, 한국은 빠르게 주도권을 가져왔습니다. 주민규는 최전방에서 강력한 버티는 힘으로 중국 수비를 괴롭혔고, 이동경은 중원에서 날카로운 패스와 골로 팀의 공격을 이끌었습니다. 김주성은 수비는 물론 공격 가담에서도 골을 기록하며 다재다능한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수비에서는 백스리 라인이 중국의 공격을 완벽히 차단했습니다. 박진섭, 김주성, 박승욱은 안정적인 위치 선정과 협력 수비로 중국의 어린 선수들을 압도했고, 골키퍼를 포함한 후방 빌드업도 매끄럽게 진행됐습니다. 중원에서는 김진규와 김봉수가 균형을 잡으며 공격과 수비를 연결했고, 이동경은 자유로운 움직임으로 중국의 수비를 교란했습니다.
반면, 중국은 전술적으로나 경험 면에서 한국에 크게 밀렸습니다. 어린 선수들은 기술적으로 잠재력을 보여줬지만, 조직력과 경기 운영에서 한국의 노련함을 따라가지 못했습니다. 특히 한국의 백스리 시스템을 공략할 만한 전략이나 날카로운 공격 패턴이 부족했고, 수비에서도 주민규와 같은 강력한 공격수를 막아내지 못했습니다.
이번 대회의 의미와 한계
한국 입장에서는 이번 경기가 2026 북중미 월드컵을 대비한 중요한 테스트 무대였습니다. 홍명보 감독은 유럽파 없이 K리그와 J리그 선수들로 팀을 꾸리며 새로운 전술과 선수들의 가능성을 점검했습니다. 백스리 시스템의 안정성과 K리그 선수들의 경쟁력은 긍정적인 신호였지만, 중국의 약한 전력 탓에 실험의 깊이를 평가하기는 어려웠습니다. 홍 감독이 경기 후 언급한 “오답 노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일본이나 홍콩과 같은 더 강한 상대와의 경기가 필요할 것입니다.
중국은 이번 대회를 통해 세대교체의 첫걸음을 뗐습니다. 왕 유동, 콰이 지원, 우미티장 위쑤푸 같은 젊은 선수들은 A매치 경험을 쌓으며 미래를 준비했고, 주르예비치 감독은 이들을 중심으로 중국 축구의 새로운 기반을 다지고자 했습니다. 그러나 이번 경기는 중국의 현재 전력이 한국에 비해 크게 뒤처져 있음을 보여줬고, 세대교체의 성공 여부는 향후 몇 년간 이 선수들이 얼마나 성장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향후 전망: 한국의 우승 가능성과 다음 테스트
한국은 이번 승리로 동아시안컵 우승을 향한 청신호를 켰습니다. 2019년 대회 이후 6년 만의 우승을 노리는 홍명보호는 다음 경기에서 일본이나 홍콩과 같은 강팀을 만나며 진정한 전력을 시험받을 것입니다. 특히 백스리 시스템의 안정성과 K리그 선수들의 활약은 월드컵 대비 과정에서 중요한 데이터가 될 것입니다. 홍명보 감독은 이번 대회를 통해 주전과 백업 선수들의 조화를 점검하고, 월드컵 본선에서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은 이번 대회에서 세대교체의 가능성을 확인했지만, 단기적인 성과보다는 장기적인 성장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어린 선수들이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A매치에서의 자신감을 키우고, 향후 아시아 무대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결론
2025 동아시안컵 개막전에서 한국은 중국을 3-0으로 완파하며 산뜻한 출발을 알렸습니다. K리그와 J리그 선수들로 구성된 홍명보호는 안정적인 경기력과 조직력으로 중국을 압도했고, 백스리 시스템과 새로운 선수들의 가능성을 확인했습니다. 그러나 중국의 약한 전력 탓에 실험의 의미를 깊게 평가하기는 어려웠습니다. 앞으로의 경기에서 한국은 더 강한 상대를 만나며 월드컵 대비의 진정한 결과를 확인해야 할 것입니다.
#동아시안컵 #홍명보호 #대한민국축구 #중국전 #3-0완승 #이동경 #주민규 #김주성 #K리그 #백스리 #월드컵대비 #세대교체 #중국축구 #A매치 #용인미르스타디움
'국가대표 > A 대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동아시안컵, 한국 축구의 민낯을 드러내다(25.07.18) (20) | 2025.07.18 |
---|---|
폭염 속 태극전사의 뜨거운 담금질, 동아시안컵을 향한 첫걸음(25.07.04) (15) | 2025.07.04 |
2026 FIFA 북중미 월드컵 파워랭킹: 한국, 13위로 아시아 2위 자리매김(25.06.13) (7) | 2025.06.13 |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FIFA 랭킹 위기: 아시아 4위 추락과 2026 월드컵 전망(25.06.11) (9) | 2025.06.11 |
홍명보호의 새 출발, 2026 월드컵을 향한 젊은 피의 도전(25.06.08) (9) | 2025.06.08 |